물을 잡다 뜻
발음:
① 마른 논에 처음으로 물을 대어 두다. ② 음식을 만들 때 솥, 냄비 따위에 물을 두다.
* 밥이 잘 되려면 물을 잘 잡아 안쳐야 한다.
*③ 넘쳐흐르는 물을 다스려 제 길로 흐르게 하다.
- 잡다: 잡다 [-따][타동사]1 손으로 움켜쥐고 놓지 아니하다.* 손목을 ~.*옷자락을 ~.2 정하거나 차지하거나 가지다.* 방향을 ~.*제목을 ~.*집터를 ~./ 패권을 ~.*정권을 ~.* 일자리를 ~.*한밑천을 ~.3 담보로 받아 놓거나 맡다.* 볼모로 ~.*집을 ~.4 (연장 따위를 나타내는 명사와 함께 쓰이어) 그것을 가지고 일을 하다.* 붓을 ~.*운
- 물을 탄: 물결 무늬가 있는; 관개된
- 우물을 파도 한 우물을 파라: 어떠한 일이나 한 가지 일을 끝까지 철저히 하여야 성공할 수 있다는 말.
- 가물을 타다: 농작물 따위가 가물에 잘 견디지 못하여 해를 입거나 그 영향을 쉽게 받다.* 가물을 덜 타는 농작물.
- 공물을 바치는: 종속하는; 지류의
- 관물을 먹다: = 관청물을 먹다(⇒ 관청물(官廳-)).
- 관청물을 먹다: '관리 생활을 하다'의 통속적인 말. = 관물을 먹다(⇒ 관물1 (官-)).
- 눈물을 머금다: 눈물이 글썽하다.
- 눈물을 삼키다: 나오려는 눈물을 꾹 참다.
- 눈물을 짓다: 눈물이 괴거나 흘리다.
- 눈물을 짜다: ① 눈물을 질금질금 흘리며 울다. ② 억지로 울다.
- 눈물을 흘리다: 스며 나오게 하다; 흘리다; 물방울이 듣다
- 눈물을 흘림: 눈물을 흘리고 옴
- 더운 물을 섞다: 반하게 하다; 으깨어 뭉개다
- 땟물을 벗다: 말이나 태도, 차림새 등이 속되거나 촌스러운 티가 없이 탁 트이다.